고속도로 전략환경영향평가 공청회…연서·연동면 주민반발 확산

▲세종-청주고속도로 신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 공청회가 세종시청 대강당에서 진행되고 있다.
▲세종-청주고속도로 신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 공청회가 세종시청 대강당에서 진행되고 있다.

세종-청주고속도로 노선안에 대한 전면 백지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 2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세종시청에서 세종-청주고속도로 신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 공청회를 개최하고 현 노선안에 대해 설득에 나섰지만 주민 불만을 잠재우지 못했다.

이날 공청회는 연서면·연동면 주민대표, 국토교통부·도로공사·용역사 관계자의 토론에 이어 방청석의 시민과 질의응답 순으로 2시간 가까이 진행됐다.  

위치도
위치도
▲세종-청주 고속도로 대안별 계획 노선도.(출처: 환경영향평가정보시스템)
▲세종-청주 고속도로 대안별 계획 노선도.(출처: 환경영향평가정보시스템)

세종-청주고속도로 신설 사업은 한국도로공사가 내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 총 9,731억원을 투입해 세종시 연서면 기룡리(효교로 169)에서 충북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척산리(남석로 135)까지 총연장 19.2km(4차로)의 고속도로를 건설한다는 계획으로 세종시 사업구간은 10.35㎞이다.

▲출입시설 현황.
▲출입시설 현황.

터널 5개소(2.1㎞), 교량 20개소(3.62㎞), 고속도로 출입시설 4개소(장군분기점·북세종나들목·강내나들목·청주분기점) 등이 건립된다. 

▲한 주민이 도로공사의 고속도로 노선안을 비판하며 새로운 노선안을 제안하고 있다.
▲한 주민이 도로공사의 고속도로 노선안을 비판하며 새로운 노선안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현 노선안은 연서면과 연동면을 중심으로 강한 반대에 직면했다.  

주민들이 가장 우려하는 점은 고속도로가 주거지를 인접해 통과하면서 영구적인 피해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아울러 도로공사가 제시한 대안1(계획노선)과 이에 따른 대안2(사업계획 적정선 노선)는 사실상 동일 노선으로 또 한번 자신들을 우롱했다고 비난했다. 

현 노선안(대안1)에 관련해 장군분기점을 연서분기점으로 명칭을 변경(노선 남측 이동)하고 봉암리, 국촌리, 노송리 등 마을과 떨어져 북측으로 노선을 조정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연서면은 현 노선안보다 북측으로 200~300미터 이동해 하천 인근(월하천로, 함박로)을 중심으로 기존도로를 확장해 1번 국도와 연결할 것을 주문했다.  

이를 통해 국촌리 마을, 함박산 등 주거지와 자연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고 북세종IC도 주거지를 피해 위치를 변경할 것을 주장했다. 

특히 현 노선이 군부대 위치 등을 고려해 정해진 만큼 주민피해가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국토부가 국방부와 협의해 나서 조정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연동면에서도 연동IC를 설치하고 노송리 등 마을과 떨어져 북측으로 노선을 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주민들은 사업 추진 필요성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한 주민은 “정작 도로가 지나는 주민의 피해를 요구하는데 이 고속도로가 누구를 위해 건설되는지 모르겠다”며 “세종시 구간이 10㎞가 조금 넘는다. 얼마나 빨리 간다고 우리 살고 있는 마을을 두동강 내려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반문했다. 

또 다른 주민은 “요즘 고속도로는 웬만하면 터널을 뚫고 간다. 또 좀 걸리더라도 우회해서 가도 되지 않느냐. 자연환경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우리 주민의 삶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노선변경 등이 이뤄질 경우 400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도로공사 관계자가 언급하자 “돈이 문제면 차라리 이 사업을 철회하라”고 맞받아치며 “현 노선의 전면 백지화를 보장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 자리에서 노선에 대해 확답할 수 없다”며 “차후 주민들이 요구한 사안에 대해 보고하고 검토해 내년도 공청회 등을 통해 소상히 밝히겠다”고 말했다. 주민협의체 구성에 대해선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날 공청회에서 알 수 있듯이 노선안에 대해 주민 반감이 상당한데 이에 앞서 연동면에서 개최 예정이었던 설명회가 주민 반대로 사실상 무산된 바 있다. 

노선이 최종 확정되면 변경이 어려운 만큼 다소 시일이 걸리더라도 국토부와 도로공사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세종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