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김재찬

정수장학회는 불법 헌납된 것이었다.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위원회는 2005년 7월 22일 부일장학회(현 정수장학회) 헌납과 경향신문 매각 의혹 사건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박정환 국가 재건 최고회의 의장의 지시에 의해 수사되었음이 당시 중앙정보부 지부장이었던 박용기씨의 진술에서 확인되었지. 쿠데타 이후의 안갯속이야.”

1962년 6월 20일 김지태가 구속상태에서 강압에 의해 작성된 기부승낙서에 서명을 했으나, 이마저도 구속 중 기부의 의혹을 지우기 위해 석방 이후인 6월 30일로 변조되었음이,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필적감정에 의해 확인됐다. 부산일보 주필 황용주의 석방을 빌미, 김지태에 대한 재산포기 종용이 사실로 밝혀졌다.

경향신문의 매각과정에서도 중앙정보부장을 앞세워 몇 번의 간첩사건을 통해 압력을 행사하였음이 확인됐다.

박그녀는 정수장학회를 국가헌납 또는 이사진을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정수장학회와 자신은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정수장학회는 공익재단이기 때문에 이사진이 곧 주인이며, 이미 사회에 환원된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 환원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런 발언에 대해 ‘그렇다면 그들 주장대로 공익법인인 육영재단을 두고, 형제들끼리 싸우는 이유가 무엇이냐’며, 그의 인식과 그 가족의 행태에 대한 비판도 끊이지 않았다. 

매일 나빠지는 한 독재자 일가의 모습에 우울해야 한다. 비극의 민주주의는 민주주의가 무엇인지보다 무엇이 민주주의 성공의 조건인지를 알려준다.

전체주의는 ‘전체국가’를 향한 파시스트 두목 무솔리니의 꿈에 기원이 있다. 
그는 정치적지배-복종관계를 넘어 국민에게 사랑받는 지도자가 되기를 원했다. 정치의 공적 영역을 넘어서 가정의 사생활에 침투하고 양심과 미적취향 같은 개인의 내밀한 영역까지 지배하기를 열망했다. 

3선 대통령이 된지 1년이 됐을 때, 박정환은 중앙정보부장을 북한 김일성에게 보내 1972년 7월 4일 7·4남북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그리고 남북의 평화통일을 준비한다는 구실을 내세워 1972년 10월 17일 계엄을 선포했다. 

기존의 민주헌법을 짓밟고, 멀쩡한 국회를 해산하고,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헌법 위에 군림하며 제왕적 무한 권력을 휘두르기 시작한 것이다. 당시에는 정치권에서 꽤 알려진 인사나, 야당 정치인 중에서도 ‘유신만이 살 길이다’라는 어깨띠를 두르고 다닐 정도였다. 

저작권자 © 세종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