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행복도시기본계획 변경 추진… 30만 인구 달성 2020년→2022년 연장

▲행복도시 5·6생활권의 기능 맞교환을 통한 기능 재설정이 추진된다.
▲행복도시 5·6생활권의 기능 맞교환을 통한 기능 재설정이 추진된다.

행복도시 내  5생활권(의료·복지)과 6생활권(첨단지식기반) 기능의 상호 교환이 추진된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기본계획(이하 ‘행복도시기본계획’)이 수립된지 10여년 만에 개정이 추진 되고 30만 인구 달성 목표연도도 ‘2022년’으로 2년 연장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이충재, 이하 행복청)는 지난 19일 ‘2010년 행복도시 수정안 논란’, ‘2012년 세종시 출범’ 등 행복도시를 둘러싼 외부환경을 반영해 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5·6생활권에 대한 기능 재설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지난 20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전문가 및 시민 등이 참여한 가운데 ‘행복도시기본계획 변경을 위한 공청회’가 개최했다.
 

 
 

국토부·행복청에 따르면 접근성, 기존 산단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해 현재 6-1생활권 내 첨단산업 업무 용지를 5생활권으로 이전하는 안을 검토한다.

이는 기존 월산산단 입지를 단순 반영해 도로 지·정체 유발 우려,  4-2 생활권에 입지할 세종테크밸리과 명학산단, 오송·오창 등 인근 산단과의 연계성이 취약하다는 평가에 따른 것.

또한 이 방안이 실현될 경우 양 생활권의 기능 ‘맞교환’ 등 기능 재설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즉 5생활권 의료·복지 기능→첨단지식 기반으로, 6생활권 첨단지식 기반 기능→의료·복지로 상호 교환해 변경하는 안이다.

이를 바탕으로 5생활권은 첨단산업단지와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 도시로 계획해 ‘바이오·에너지 특화생활권’으로 조성하고 6생활권은 대학병원 급의 고차 의료시설을 유치하는 등 기능 구체화 방안도 제시했다.

행복도시 단계별 개발계획도 당초 2020년인 30만 인구 달성 목표 연도를 ‘2022년’으로 연장한다.
현행 행복도시 단계별 개발계획은 ▲1단계 초기활력단계(2007~2015년, 인구 15만) ▲2단계 자족적 성숙단계(2016~2020년, 인구 30만) ▲3단계 완성단계(2021~2030년, 인구 50만) 이나  행복도시 수정안 논란 등으로 건설사업이 2년 지연된 현실을 개발계획에 반영한 것이다.

한편 국토부는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행복도시기본계획 변경안을 수립하고, 관계 중앙행정기관 협의 및 ‘행복도시건설추진위원회(공동위원장 강호인 장관, 허재완 중앙대 교수)의 심의를 거쳐 내년 1월에 최종 계획을 확정·고시한다.

저작권자 © 세종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