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월향’

▲전 세종시의회 강용수 부의장
▲전 세종시의회 강용수 부의장

진주의 논개를 기억하는 사람은 많아도 평양의 계월향을 아는 사람은 극히 적을 것이다.

1592년 4월 14일 조선을 침략한 일본의 20만 대군은 그날로 부산을 함락하고 불과 보름 만에 조선의 수도 한양마저 점령했다.

평양성의 백성들은 며칠 후면 들이닥칠 왜병들로 공포에 떨고 있었다. 평양기방의 기생들도 근심이 깊었다. 그 당시 평양 기방의 기녀들은 한양과 더불어 전국 최고의 명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기녀들은 입을 모아 앞날을 걱정했다.

“이제 여자의 몸으로 우리가 가면 어딜 갈수 있겠니?” “나는 차라리 왜국 장수에게 내 한 몸 맡기련다. 내 미모 정도면 그놈들도 혹하지 않을까?” “그 더러운 놈들에게 안기겠다고? 차라리 혀를 깨물고 죽는 다 이 미친년아!” 혼란에 빠져 있는 기방 한구석에 아무 말 없이 깊은 생각에 잠겨있는 기녀 한명이 있었다.
그녀 이름은 계월향(桂月香)이었다.

계월향은 당시 ‘조방장(助防長)’으로 근무하던 김응서(金應瑞)의 애첩이었다.

 김응서는 평민출신으로 선조16년 무과에 장원급제 했다. 그러나 미천한 신분이 드러나 파직되었다가, 임진왜란 때 일본군을 피해 의주로 도망가는 선조가 왜군들에 포위됐을 때 탁월한 무예실력으로 임금의 탈출을 도와 곧바로 조방장에 임명됐다.

그 해 6월 11일 평양이 함락되고 말았다. 왜병이 부산에 발을 내린 뒤 두 달이 채 걸리지 않았다. 조선군은 왜군들과 싸우다 전부 평양성을 버리고 밖으로 도망가 버렸다. 그때 김응서와 계월향은 나라를 위해서 뭔가를 해보자고 다짐하며 헤어진다.

평양성에 남은 백성들은 죽거나 노예 같은 생활을 해야 했으며 일본의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는 평양탈환의 최선봉장으로 큰 공을 세운 고니시 히(小西 飛) 부대를 크게 칭찬하며 평양성에서 승리자의 기쁨을 마음껏 누려도 좋다고 허락했다.

“말로만 듣던 조선 평양의 기방은 어떤 곳 일까!”

고니시 히가 기방을 찾았을 때에 의도적으로 접근한 계월향의 미모에 흠뻑 빠져버린다. 그리고 그는 그날 밤 그녀를 취한다.

“제일 도도한척 하더니 제일 먼저 왜장에게 수청을 드는 구나. 에라이 더러운 년. 개 같은 년” “김응서 나리만 불쌍하구나. 저렇게 지조 없는 년이 무슨 평양 제일 명기라고”

주위의 수군거림에 아랑곳 않고 계월향은 무슨 작심이나 한 듯 고니시 히를 극진히 모신다. 고니시 히는 계월향에게 완전히 빠져 사랑의 노예가 되어버리고 말았고 그녀가 원하는 것이면 뭐든 들어주었다.

그러는 동안 반년이 지나고 명나라의 이여송 부대가 참전해 전열을 가다듬은 조선군과 함께 평양수복을 노리고 있던 때에 김응서는 계월향이 보냈다는 한 사내를 만날 수 있었다. 사내를 통해 계월향의 친서를 전달받은 김응서는 한없는 눈물을 흘리고 만다.

한편 눈치 빠른 적장의 부하에게 암살 계획이 탄로나 곤경에 처해있을 때 동료 기생의 희생으로 위기를 모면하며 계월향은 적장의 두툼한 신임을 받는다. “제 오라버니가 조선군에 있을 때 상급자들이 어찌나 구박을 하던지. 부당하게 뇌물을 요구하고 개인적으로 부려먹기까지 하고요. 조선의 장교들만 생각하면 치가 떨린답니다” “하하! 조선 놈들이 다 그렇지 뭐. 부하들을 그 따위로 다스리니 군대에 기강이 서겠나? 그러니 이렇게 자기네 나라까지 빼앗기고 말이야 하하”

“그래서 말인데 저희 오라버니를 나리가 받아주신다면.. 일본군에서 큰 공을 세울 것입니다. 힘도 장사고 무예도 대단해 이 나라 무과에 장원급제까지 했던 사람입니다. 한번만 기회를 주세요” “그래 생각해보자” 고니시 히는 깊은 생각 끝에 결심을 내렸다.

김응서는 월향의 지략으로 그녀의 오빠로 위장하여 평양에 들어올 수 있었다. 그는 왜군에 전향하는 척 함으로써 왜군들의 환대까지 받았다. 그날 밤 계월향은 고니시 히에게 어느 때보다 더한 애교를 부리며 술잔을 연거푸 권하니 잔뜩 취해 잠이 들어버리고 말았다.

계월향은 김응서를 고니시 히의 장막으로 안내한다.
곧이어 김응서의 칼이 번쩍이고 고니시 히의 머리는 피를 뿜으며 떨어져 나갔다. 둘은 고니시 히의 머리를 들고 밖에 준비되어 있던 말을 풀어 탈출을 시도했다.

금방 발각될 것이고 일각이 시급한 상황이었는데 이때 계월향이 말한다. “저는 말을 타기에도 서툴고 민첩하지도 못하니 나를 데리고 나가면 저희 둘 다 목숨을 잃게 됩니다. 어차피 죽을 목숨이라면 나리의 칼에 죽고 싶소. 왜놈에게 몸을 더럽힌 저를 부디 용서해 주십시오”

김응서가 울부짖으며 말했다. “그런 바보 같은 말이 어디 있느냐! 너를 두고 내가 어딜 간단 말이냐! 적장을 벤 것은 너다! 너가 죽으면 나도 죽을 것이다” 그러나 계월향은 단호하게 말했다.

“나리는 살아 남으셔서 저 왜놈들을 하나라도 더 죽이고 저를 따라 오시오. 나리가 저를 베지 않으면 내 스스로 목을 찔러 죽는 수 밖에 없습니다”면서 들고 있던 은장도로 자결하고 만다. 그녀는 그렇게 고귀한 죽음으로써 부활의 꽃이 되었던 것이다.

김응서는 임금도 버리고 도망간 땅에서 죽기로 작정하고 싸운 결과 이듬해 1월 평양성은 탈환되고 그 공으로 포도대장에 임명되었으며 평안도병마절도사까지 거친다.

김응서 장군(1564~1624)은 북한 우표에도 그려질 정도로 유명한 임진왜란의 전쟁영웅이다. 위기 때마다 이 나라와 민족을 위해서 목숨을 던진 자들이 수없이 많을 것이나 국정농단의 주모자들을 지켜보고 있노라니 불현듯 계월향과 김응서가 존경스럽기 만하다.

요즘은 도나캐나 모두가 대통령만 탓한다.

남들은 몰라도 친박의 맏형, 원조, 장자방, 진박, 친박연대라고 개 풀 뜯어 먹는 소리를 하던 놈들은 엊그제 만해도 선거의 여왕에게 갖은 아양을 떨고, 권모술수로 총기를 흐리게 한 장본인들이 아니었던가?

임진왜란 때보다 더 깊은 수렁에 빠져 꼼짝 못하고 있는 이 나라를 구해 낼 지혜를 짜지는 않고 먼저 도망갈 생각과 남의 탓만 일삼는 비열한 놈들이 아닌가?

아! 슬프고. 슬프도다. 백지수표란 말은 들어봤어도 ‘대통령, 국회에 백지위임’이란 말이 너무 생소하게 들린다.

정녕! 계월향의 은장도가 국정논단의 주범 최순실에게만 필요하단 말인가!

계월향과 같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내 놓을 수는 없다 하더라도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모시고 밥그릇 싸움만 일삼던 죄 크다 할 것이다.

여보시요! 이놈들 먼저 사퇴시키고 계월향의 은장도를 하나씩 나누어 주도록 하시오. 그 길만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일 것이다. 하고 싶은 말도 많지만 참새인 내가 봉황인 당신들에게 어찌 다 할 수 있겠소?

오늘도 이 말씀에 고개가 숙여진다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저작권자 © 세종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