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치원읍·연동면’ 최우선 순위… 한솔동 복컴 증축

 
 

읍·면별 건립방식에서 ‘생활권 단위 건립’ 주장도 제기

세종시 신도시지역의 대표적인 상징이었던 복합커뮤니티센터(이하 복컴)가 각 읍·면 지역에 순차적으로 건립된다. 세종시는 읍·면 복컴의 단계별 조성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조치원읍과 연동면, 한솔동(복컴증축) 지역을 최우선 순위로 추진한다.

지난 3일 이춘희 시장을 비롯해 시의원, 공무원, 용역사 관계자등이 참여한 가운데 읍·면 복컴건립 기본계획수립용역 최종보고회를 갖고 연차별 3단계 추진 로드맵 및 총 사업비로 1367억원으로 추산했다.

이번 기본계획 용역수립은 지난 해 12월 3일 용역에 착수해 올해 3월 24일 중간보고회를 거쳐 이날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용역안에 따르면 세종시는 권역형 복컴(읍지역 대상), 농촌근린형 복컴(면지역 대상, 소규모·체육시설형 복컴)과 특별사업으로 신도시지역내 기존 공급된 복컴에 시설 보완(복컴 시설 보충)으로 진행한다.

신도시 지역의 복컴이 주민의 삶의 질을 놓이는 효과적인 시설로 자리매김한 상황에서 읍면 지역에서도 복컴 조성에 대한 욕구가 점차 커지는 상황으로 시의 주요한 과제로 떠올랐지만 막대한 예산을 고려할 때 단계별 추진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다만 현재 신도시내 복컴은 인구 2~3만명 기초생활권의 지구생활권을 중심으로 건립돼 기반시설이 없는 상태에서 새롭게 개발된 반면에 읍·면 지역은 기존 커뮤니티시설을 계속 활용하면서 새로운 시설물을 추가하는 개념으로 진행된다.

사업 우선순위 관련 사업의 시급성(현 시설의 낙후도·기존 시설의 확충도), 사업의 용이성(부지확보의 용이성·사업비 절감), 사업의 파급효과(수혜주민 수·관련계획과의 연관성) 등에 따라 읍·면 별 추진 순위를 결정해 3단계에 걸쳐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읍면 복컴기본계획수립 최종 보고에 대해 몇몇 참석자는 시각을 달리했다.

김정봉 의원은 복컴 설치를 면 단위 행정조직에 의존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김 의원은 “각 면마다 복컴을 하나씩 지으면 너무 많은 예산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보다는 기초생활권 단위로 묶어 2~3 개지역에 규모와 질이 담보되는 복컴을 지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과거와 달리 교통이 발전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됐다. 주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적당한 지점에 건물을 지으면 된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해서는 경로당 기능을 강화해 적극 활용해야 한다”며 “이제 면단위 개념보다는 효율적 예산 사용 및 규모의 경제에 초점을 맞춰야 할 시기”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선 순위를 정하는 배점 및 가중치 등에 대해서도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조치원 복컴건립 위치 문제로 잠시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태환 의원은 건립 후보지를 놓고 타당성 조사 및 주민의견이 수렴돼야 함에도 용역에 따르면 마치 결정된 것 같음을 지적하며 “복컴 건립 위치가 시민체육관 일대로 선정된 것이냐.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강한 어조로 지적하며  “이것으로 인해 침산공원내 필요한 시설이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춘희 시장은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서금택 의원은 조치원에 2개의 복컴 설립을 제안했다.
서 의원은 “우리 조치원은 대략 4만 7천명 인구와 철도로 인해 동서로 나눠져 있다. 면과는 여건이 다르다. 신도시 내 복컴이 대략 2~3만명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 조치원 인구를 생각하면 복컴이 두 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시민체육관 일대에 하나를 건립한다면 동쪽 원도심 일원에도 복컴은 아니더라도 읍사무소와 연계해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이 건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장승업 의원은 “연기면은 늦더라도 순위에 포함됐으면 한다. 면 지역과 행복도시 건설 지역이 연계해 상생발전하도록 해 달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춘희 시장은 “행복도시 생활권과 연기면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놓고 봐야 한다”며 “향후 행정구역 조정들을 고려해 연기면은 신도시 지역과 같이 놓고 따로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번 읍·면 복합커뮤니티 센터 건립 추진은 해당 지역뿐만 아니라 세종시라는 큰 틀에서도 중요하고 민감한 문제다. 토론 과정에서 일부 언급됐지만 사업 추진 방식 및 순위, 입지에 대해서도 입장차가 나타난 만큼 향후 시 입장에서는 상당한 부담을 안을 여지도 크다는 평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원칙 및 객관성을 갖고 (설령 다소 지연이 되더라도) 향후 절차에 따른 공개적인 주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야 사업 추진에 있어 강한 추진력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세종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